윌리엄스 증후군 원인과 증상 궁금증 해결하기
세상에는 정말 알려지지 않은 수천 가지의 희귀 질환이 있습니다.
평생 들어본 적 없는 질병으로 레트로 증후군, 윌리엄스 증후군, 터너 증후군, 기미 증후군, 칼만 증후군, 호너 증후군, 다운 증후군, 뮤코다당류증, 길버트 증후군, 뚜렛 증후군 같은것들이 있는데요.
이 외에도 다양한 질병이 존재하며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특정 질병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 윌리엄스 증후군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윌리엄 증후군이 무엇인지, 그 특징은 무엇인지, 희귀질환 검사는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윌리엄스 증후군
윌리엄스 증후군은 20,00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희귀질환입니다.
증상은 태어날 때부터 나타나는데 성별에 관계없이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인종 지역에 관계없이 전 세계적으로 흔합니다.
팅커벨의 소재가 된 윌리엄스 신드롬은 동화 속 요정으로 등장하는 팅커벨이 윌리엄스 신드롬의 소재로 만들어낸 캐릭터다.
유아기에 고칼슘혈증은 성장 및 발달 지연을 동반합니다.
청소년기에 경미한 정신 지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독특한 얼굴 모양, 관절 구축 및 고혈압을 동반하고 독특한 행동 패턴을 특징으로 합니다.
어린 아이들의 윌리엄 증후군의 가장 문제가 되는 징후는 사회적 불안의 부족입니다.
사람들은 그 사람을 만나거나 대화를 나눌 때 그 사람을 믿을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하지만 이러한 판단 신호는 윌리엄스 증후군이 있는 어린이에게는 효과가 없습니다.
즉, 사람을 너무 믿고 따르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경계의 부족은 자신을 위험에 노출시키는 것과 같습니다.
윌리엄스 증후군의 원인
윌리엄스 증후군은 7번 염색체 장완의 근위부 미세결실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부위에는 혈관벽과 같은 탄력 조직을 형성하는 엘라스틴 단백질 생성과 관련된 엘라스틴 유전자를 비롯한 여러 유전자가 위치합니다.
벽은인지 능력과 관련된 유전자를 형성합니다. 미세결실은 다양하고 특징적인 발현 및 임상적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번 염색체 근위 장완의 미세결실은 대부분 산발적이며 드물게 가족성입니다. 엘라스틴 유전자의 결손은 이 희귀병인 윌리엄스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의 99% 이상에서 나타납니다.
윌리엄스 증우군 일반적인 외관 특징
대표적인 외형적 특징으로는 통통한 입술, 부은 눈꺼풀, 쉰 목소리 등이 있으며, 심장 및 혈관 기형, 신장 이상, 성장 발달 지연 등의 임상 증상이 나타난다.
성격 특성은 매우 사교적이고 우호적이며 낯선 사람을 경계하지 않으며 또래보다 어른들과 더 친밀합니다.
윌리엄스 증후군의 증상
윌리엄스 증후군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슷한 얼굴 모양, 작은 머리, 눈 주위의 붓기, 작은 들창코, 통통한 입술, 좁은 볼을 가지고 있습니다.
치아가 조금 작고 치간공간이 넓은 것이 이 질환의 공통적인 특징이며, 교합불량과 치아모양이 고르지 못하여 발생하는 대부분의 치아문제는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동맥 협착증과 폐동맥 협착증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며 협착증은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되는 경향이 있어 정기적인 심장 검진이 필요하다.
또한 신장과 방광의 기능이 다소 저하되고 나이가 들면 근긴장성 근육과 관절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물리치료를 통해 상당한 치료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윌리엄스 증후군 진단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엘라스틴 유전자 결손은 주로 7번 염색체 근위 장완의 미세결실로 인해 관찰된다.
미세결실은 엘라스틴 유전자 운반체를 이용한 형광 in situ hybridization이라는 검사로 확인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염색체 미세배열 검사로도 확인할 수 있다.
윌리엄스 증후군을 식별합니다.
윌리엄스 증후군 관리
윌리엄스 증후군은 평생 동안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성장과 함께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에 대한 대비책으로 재활치료, 심초음파, 이비인후과, 치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기적인 관찰을 통해 다양한 현상을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이 질환에 대한 확실한 대처 방법입니다.
희귀질환 검출을 위한 검사의 종류 및 방법
유전자 검사는 유전적 변이의 범위에 따라 선택해야 하며, 각 유전자 검사의 목적과 한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첫 번째 염색체 분석
염색체 분석은 세포 내 염색체를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검사로 46개 염색체 23쌍의 수치적, 구조적 이상을 분석하여 염색체 이상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수적 이상은 염색체 수가 46개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이며, 구조적 이상은 염색체 중복결함 도치(순서가 바뀜)와 전좌(염색체가 양쪽으로 바뀜)이다. 염색체 이상이 유전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무증상일지라도 반복적인 유산은 염색체 분석의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염색체 분석은 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는 5Mb 이상의 결실 중복만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형광 in situ 피팅 방법
윌리엄 증후군과 같은 희귀 질환을 검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미세결실 및 미세중복을 확인하기 위해 형광소자를 표시하여 영역이 삭제 또는 중복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50kb에서 100kb에 이르는 정량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검사법이 있는데 이는 형광 in situ 매칭법보다 더 넓은 범위이다.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는 모든 염색체를 포함하고, 염색체 상의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습니다.
해당 프로브를 세밀하게 열거하면 염색체의 미세한 결실이나 중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낮은 수준의 양적 차이나 모자이즘을 나타내지 않는 염색체 구조를 인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발달 지연 또는 인지 장애 또는 다발성 선천성 자폐증 기형이 있는 개인을 위해 수행됩니다.
3차 메틸화 PCR 분석
표적 유전자에서 메틸화된 부위만을 증폭시키고, 메틸화된 부위의 증폭량 차이로 결실 중복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유전 각인은 유전 정보에 변화가 없는 현상을 말하며, i. H. 뉴클레오티드 서열이지만, 유전 유전자의 부모 기원에 따라 메틸화가 결정되어 유전자 발현에 차이가 있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Prader-Worley 증후군, Angelman 증후군, Lesselsilver 증후군, Beckwith-Wideman 증후군 등이 있다.
Prader-Willi 증후군인 15번 염색체에서는 모계 메틸화 영역만 확인되고 부계 비메틸화 영역은 소실됩니다.
Prader-Worley 증후군은 식욕을 억제할 수 없는 난치병입니다. 이 부분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네번째 시퀀싱
표적 유전자의 4개 염기가 염색체에 어떻게 배열되어 있는지 염기서열의 이상을 분석하여 유전자의 점돌연변이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표적 유전자의 대규모 결실이나 중복은 확인할 수 없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른 검사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섯 번째 완전한 엑솜 분석
게놈 전체에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영역인 엑손(exon)의 염기서열만을 표적으로 하여 분석하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사용하는 분석법입니다.